2025/03 61

EEG 뇌파 측정으로 감정 읽는 인공지능

EEG(뇌파 측정)란 무엇인가요?EEG는 Electroencephalogram의 약자로, 우리 뇌의 전기적 활동을 기록하는 기술입니다. 이 기술을 통해 뇌에서 발생하는 미세한 전기 신호를 측정할 수 있으며, 이는 집중력, 불안, 피로, 감정 변화 등을 실시간으로 파악하는 데 활용됩니다. 최근에는 이 EEG 데이터를 인공지능(AI)과 결합하여 감정 상태를 분석하고, 정신 건강을 관리하는 데 활용하는 연구와 기술 개발이 활발히 이루어지고 있습니다.특히 20~40대 여성 직장인에게 이 기술은 의미 있는 도구가 될 수 있습니다. 하루 종일 여러 가지 역할을 수행해야 하는 환경 속에서 자신의 감정과 집중력을 실시간으로 파악하고, 필요할 때는 휴식이나 이완을 통해 조절할 수 있는 기술이기 때문입니다. 뇌파 기반 인..

정신건강 2025.03.31

HRV(심박 변이도) 기반 정신 상태 추적 기술 – 바쁜 여성 직장인을 위한 똑똑한 감정 관리법

💓 HRV(심박 변이도)란 무엇인가요?심박 변이도(Heart Rate Variability, HRV)는 말 그대로 심장 박동 사이의 간격이 얼마나 변화하는지를 측정하는 지표입니다. 우리의 심장은 일정한 속도로 뛰는 것처럼 느껴지지만, 실제로는 매 순간 조금씩 박동 간격이 달라지고 있습니다. 이 변동성이 클수록 신체가 스트레스에 유연하게 반응하고 있다는 뜻이며, 변동성이 낮다면 스트레스에 과도하게 노출되어 있다는 신호일 수 있습니다.20~40대 여성 직장인에게 HRV는 특히 중요한 지표입니다. 아침 회의부터 야근까지, 일과 가사노동을 병행하는 일상 속에서 내 몸의 스트레스 상태를 객관적으로 들여다볼 수 있는 유용한 도구이기 때문입니다. 최근에는 스마트워치, 헬스 밴드 등의 웨어러블 기기에서 HRV 데이터..

정신건강 2025.03.31

디지털 페노타이핑(Digital Phenotyping) – 스마트폰이 마음을 읽는 시대

디지털 페노타이핑이란 무엇인가?디지털 페노타이핑(Digital Phenotyping)은 일상생활 속에서 스마트폰, 웨어러블 디바이스, 인터넷 사용 기록 등 디지털 기기를 통해 생성되는 데이터를 바탕으로 개인의 정신적, 심리적 상태를 추정하는 기술입니다. 쉽게 말해, 우리가 얼마나 자주 휴대폰을 확인하는지, 문자에 얼마나 빠르게 반응하는지, 운동량은 어떤지 등을 분석해 그 사람의 기분이나 스트레스 상태, 우울증 가능성 등을 파악하는 것입니다.이 기술은 특히 정신 건강 관리 분야에서 급속히 주목받고 있습니다. 기존의 진단 방식은 설문지나 상담을 통한 주관적 보고에 의존해 왔지만, 디지털 페노타이핑은 객관적이고 지속적인 데이터 수집을 통해 보다 정확한 추정이 가능합니다. 2017년 하버드대학교 정신의학과에서 ..

정신건강 2025.03.31

트라우마가 우리의 신체건강에 주는 영향

트라우마와 면역 체계의 관계트라우마가 면역 체계에 미치는 영향은 상당히 중요합니다. 연구에 따르면, 심리적 외상을 경험한 사람들은 면역 기능이 저하되어 감염, 염증성 질환, 자가면역 질환 등에 취약한 경향이 있습니다. 미국 심리학회(American Psychological Association)의 발표에 따르면, 심한 스트레스나 트라우마를 경험한 사람들은 염증성 사이토카인(cytokine) 수치가 높아져 전신 염증을 유발할 가능성이 큽니다. 이는 관절염, 천식, 당뇨병과 같은 염증성 질환의 발생 위험을 증가시킵니다. 또한, 트라우마는 면역세포의 기능을 저하시켜 감염에 대한 저항력을 약화시킵니다. 장기간 트라우마로 인해 높은 수준의 코르티솔이 분비되면 백혈구와 같은 면역세포의 활동이 감소하여 몸이 외부 병..

정신건강 2025.03.30

비판 과민증(Rejection Sensitivity)

거절에 예민한 사람들이 겪는 불안과 우울비판 과민증은 단순한 성격적 특성이 아니라, 심리적·신경학적 요인이 결합된 복합적인 반응이다. 다음은 주요 원인들이다.1. 어린 시절 경험과 양육 방식비판 과민증은 주로 어린 시절 양육 방식과 깊은 관련이 있다. 부모가 자녀를 조건부 사랑(Conditional Love), 즉 “네가 잘하면 사랑해줄게”라는 방식으로 키웠다면, 아이는 거절을 ‘사랑을 잃는 것’으로 인식하게 된다. 또한, 과도하게 비판적인 부모 밑에서 자란 아이들은 타인의 평가에 대한 경계심이 높아질 가능성이 크다. 이는 성인이 되어서도 지속되어, 작은 거절에도 과민하게 반응하는 원인이 된다.2. 신경과학적 요인 – 뇌의 편도체 과활성화비판 과민증을 가진 사람들은 감정 반응을 조절하는 뇌 영역 중 **..

정신건강 2025.03.23

중요한 일을 미루는 습관과 정신 건강

미루는 습관이 단순한 나쁜 습관일까?“내일부터 해야지.” “조금만 쉬었다가 시작해야겠다.” 우리는 중요한 일을 앞두고 이런 생각을 자주 하곤 한다. 하지만 시간이 지나고 마감일이 가까워질수록 스트레스는 점점 커지고, 결국 후회와 자책으로 이어지는 경우가 많다. 미루는 습관(지연 행동, Procrastination)은 단순한 게으름이 아니다. 이는 우리의 뇌가 스트레스를 회피하는 방식이며, 더 깊은 심리적 원인과 신경과학적 요인이 존재한다. 그렇다면 우리는 왜 중요한 일을 미루고, 어떻게 하면 이 습관을 극복할 수 있을까?미루는 습관의 원인: 뇌 과학과 심리학적 관점으로1. 즉각적 보상과 도파민 시스템우리의 뇌는 즉각적인 보상을 선호한다. 예를 들어, 유튜브를 시청하거나 게임을 할 때 뇌에서는 도파민(Do..

정신건강 2025.03.22

수면 마비(Sleep Paralysis)와 정신 건강 (가위눌림)

수면 마비란?수면 마비(Sleep Paralysis), 흔히 ‘가위눌림’이라고 불리는 현상은 잠에서 깨어날 때 또는 잠에 들기 직전에 발생하는 일시적인 마비 상태를 의미합니다. 이 상태에서 사람들은 의식이 깨어 있지만 몸을 움직일 수 없으며, 종종 환각(hallucinations)을 경험하기도 합니다. 2021년 《Journal of Clinical Sleep Medicine》에 발표된 연구에 따르면, 성인의 약 7.6%가 일생 동안 적어도 한 번 이상의 수면 마비를 경험한다고 보고되었습니다. 특히, 불안 장애, 외상 후 스트레스 장애(PTSD), 우울증과 같은 정신 건강 문제를 가진 사람들은 수면 마비를 경험할 가능성이 더 높습니다. 그렇다면, 수면 마비는 왜 발생하며, 정신 건강과 어떤 관계가 있을까..

정신건강 2025.03.22

호흡이 정신 건강에 미치는 효과

호흡과 감정 조절의 관계우리는 평생 쉬지 않고 숨을 쉬지만, 대부분의 사람들은 자신의 호흡 패턴이 감정과 정신 건강에 미치는 영향을 깊이 생각해보지 않습니다. 하지만 현대 신경과학과 심리학 연구에 따르면, 호흡 방식은 스트레스, 불안, 집중력, 감정 조절에 강력한 영향을 미칠 수 있습니다. 뇌와 신체는 서로 긴밀하게 연결되어 있으며, 호흡이 느려지고 깊어질수록 부교감신경계가 활성화되어 긴장을 완화하고 안정감을 느끼게 합니다. 반면, 얕고 빠른 호흡은 교감신경계를 자극하여 스트레스 반응을 강화하고 불안을 유발할 수 있습니다. 하버드 의과대학에서 발표한 연구에 따르면, 의식적으로 호흡을 조절하면 스트레스 호르몬인 코르티솔(Cortisol) 수치가 감소하며, 이는 감정 조절 능력을 향상시키는 데 기여한다고 밝..

정신건강 2025.03.22

하이퍼리얼리즘 시대의 정신 건강

가짜와 진짜 사이에서 오는 혼란1. 하이퍼리얼리즘 시대란?우리는 지금 하이퍼리얼리즘(Hyperrealism) 시대에 살고 있다. 현실과 가상의 경계가 점점 흐려지며, 진짜와 가짜를 구별하기 어려운 시대가 도래한 것이다.하이퍼리얼리즘이란 원래 미술에서 나온 용어로, 현실보다 더 현실적인 표현 기법을 의미한다. 하지만 오늘날에는 SNS, 인공지능(AI), 가상현실(VR), 증강현실(AR) 등의 발전으로 인해 우리의 일상 곳곳에서 '극사실적이지만 실제가 아닌' 요소들이 넘쳐나고 있다.SNS 필터로 보정된 얼굴, AI가 생성한 뉴스 기사, 가상 인플루언서, 메타버스 속의 나… 이런 환경 속에서 우리는 점점 진짜와 가짜를 혼동하게 되고, 이는 정신 건강에도 영향을 미치고 있다.2. 하이퍼리얼리즘이 정신 건강에 미..

정신건강 2025.03.21

공감 과부하가 정신에 미치는 영향

😅감정 노동이란 무엇인가?우리는 일상에서 다양한 감정을 경험하지만, 일부 직업군에서는 감정을 억누르고 일정한 태도를 유지해야 한다. 이러한 **감정 노동(Emotional Labor)**은 특히 서비스업, 상담직, 의료업 등에서 필수적인 요소로 자리 잡고 있다.감정 노동자는 고객과의 관계 속에서 친절하고 긍정적인 모습을 유지해야 하지만, 그 과정에서 자신이 느끼는 감정을 억누르는 일이 많다. 겉으로는 밝고 친절해 보이지만, 속으로는 극심한 스트레스와 피로를 느낀다. 이를 **'공감 과부하(Empathy Overload)'**라고 하며, 장기적으로 정신 건강에 심각한 영향을 미칠 수 있다.최근 연구에 따르면, 감정 노동을 지속하는 사람들은 그렇지 않은 사람들보다 우울증과 불안장애 발병률이 2배 이상 높다..

정신건강 2025.03.21